사부곡 思父曲

전부들 ‘반대’였을 때 그분만 ‘찬성’이었답니다. 홀어머니에 딸도 없는 외아들, 내 집은커녕 집 한 채 만큼의 빚을 물려받은 늦깎이 대학생… 그 밖에도 반대의 이유는 차고 넘쳤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영은이 친구 김태선입니다. 죄송하지만 영은이 좀 바꿔주시겠습니까?” 이 같은 저의 전화에 그분은 “그 친구 목소리도 좋고 괜찮아 보이던데? 언제 한번 집에 데리고 와봐라” 하시며 저에게 후한(?) 점수를 주시곤 했답니다.

얼마 후, 일곱 고모에 그분 부부 그리고 할머니까지… 저에 대한 집단면접은 적진(?) 한 가운데에서 그렇게 이뤄졌고 사방에서 반대자들의 힐난성 질문이 쏟아졌습니다. 하지만 그분은 별다른 얘기 없이 예의 그 ‘사람 좋은 미소’를 띤 채 저를 바라보고만 계셨습니다.

‘당신들 말이 다 맞다. 하지만 나는 아직 젊다. 젊다는 것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고 나에게는 당신네들 딸을 이 세상 누구보다 열렬히 사랑할 열정 또한 가득하다…’ 뭐, 대략 이런 류의 사기를(?) 쳤던 것 같습니다.

“고생했어. 부지런히 들어.” 우여곡절 끝에 저녁을 겸한 술상이 차려졌고 저와 마주 앉은 그분은 이렇게 얘기하며 저를 격려해주셨습니다. ‘부지런히 들어…’ 지금도 제가 기억에서 놓지 않고 있는 그분의 트레이드마크 격인 말씀입니다.

그분이라고 어찌 걱정이 되지 않았겠습니까? 착하고 예쁘고 성실해서 주변 여기저기에서 탐을 내던 큰 딸이 ‘갖은 악조건은 다 갖고 있는 멀대 같은 녀석’에게 빠져들었습니다. 그분은 어쩌면 주변의 반대자들보다도 훨씬 더 많이 불안했고 어떻게 해서든 뜯어말리고 싶었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럼에도 그분은 ‘그 친구, 사람 괜찮아 보이더라. 우리 집 하고 환경도 비슷하고… 양쪽 집이 너무 차이가 나도 안 되거든…’이라며 애써 주변을 유화시켰던 겁니다. 이미 ‘미친년’이 돼버린 딸을 위해서….

하지만 저는 이후 그분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어리기도 했지만 워낙 찌질해서 대가 센 홀시어머니로부터 그분의 딸을 제대로 지켜내지 못했고 우리보다는 남을 위해 더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마음 고생도 많이 시켰습니다.

‘이젠 좀 잘 해드려야겠다’고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어 있었습니다. 공교롭게도 그분도 저의 아버지처럼 쉰 넷이라는 젊은 나이에 우리 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여러 가지 스트레스가 많아 간이 안 좋았던 그분의 건강 악화에 저의 찌질함도 어느 정도는 더해졌을 것 같아 늘 죄송한 마음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아직 아기였을 때, 가끔 우리 집에 오셔서 아이들을 품에 안고 온화한 미소만 짓던 그분의 모습이 눈앞에 선합니다. 돌아가시던 날도, 큰딸의 손을 한번 꼬옥 잡으신 후 그분은 제 무릎에 누워 얼마간을 계시다가 평화롭게 눈을 감으셨습니다.

“짜식이… 너무 일찍 죽었어…” 요즘도 가끔 아내와 술잔을 부딪치며 그분 이야기를 합니다. 열아홉 살에 아버지를 여의였기 때문에 ‘나중에 결혼하면 장인이랑 포장마차에 가서 술도 자주 마시고 해야겠다’던 다짐을 실천에 옮기기도 전에 그분은 우리 곁을 떠나셨습니다.

시드니에 와서 1년 반 동안 세븐데이로 울워스 청소를 시킨 찌질한 저를 향해 그분은 ‘아니, 저놈이… 내 딸 데려다가 지금 무슨 짓을 시키고 있는 거야?’라고 역정을 내셨을까요? 모르긴 해도 그분은 ‘사랑하는 내 딸아… 조금만 더 참고 견디면 꼭 좋은 날이 올 거다’라며 조용한 미소를 지은 채 우리를 내려다 보고 계셨을 겁니다.

Father’s Day를 이틀 앞둔 오늘… 새삼스럽게 그분에 대한 미안함과 그리움이 왈칵 몰려옵니다. 장인어른, 아니, 아버님… 정말 죄송합니다. 그리고 보고 싶습니다. 사랑합니다.

 

**********************************************************************

 

김태선 tonyau777@hotmail.com

<코리아타운> 대표. 1956년 생. 한국 <여원> <신부> <직장인> 기자 및 편집부장, <미주 조선일보> 편집국장. 2005년 10월 1일 <코리아타운> 인수, 현재 발행인 겸 편집인.

Previous article‘~으로 괜찮습니다’ 의미하는 ‘~でいいです’ 표현 배우기
Next article박해선의 영화, 어떻게 살아야 하나 ⑪ 와일드 Wild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