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알아서 치울 텐데 엄마가 치우라 하면 더 하기 싫어져…”
막내딸이 친구를 만나러 간다고 나갔는데 가고 난 다음 방을 확인해보았더니 방 바닥에 옷이 잔뜩 늘어져 있었다. 아이가 돌아오자 방을 치우라고 말을 했고 아이는 알겠다고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저녁에 방에 다시 가보니 그대로 치워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 다시 치우라고 말을 했는데 몸을 움직이지 않고 있길래, 왜 치우지 않느냐고 묻게 되었다.
01_변화해야 할 사람이 자기라는 사실 받아들일 수 없어
아이의 반응은 “내가 알아서 치울 텐데 엄마가 치우라고 하면 더 하기 싫어져서 그래!”라는 것이다. 잔소리를 하면 자신의 ‘저항’이 더 심해진다는 결론이다. 아이의 말에 아무렇지도 않은 듯 표정을 지으며 “알았어, 잔소리 안 할 테니, 알아서 잘 치우렴” 하고 말하며 아이의 방을 떠나왔다. 감사하게도 아침에 일어나 아이의 방을 가보니 방은 치워져 있었다.
언젠가 필자가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던 적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학원 원장의 딸이 있었다. 그 아이는 상당히 카리스마가 있는 아이였고 공부를 잘 하는 아이였다. 그런데 학원 원장 딸이 필자가 학원을 그만 둔 다음의 후임 선생님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전의 선생님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이들을 선동하고 현재 선생님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면서 그 아이는 반 아이들을 다 이끌고 집을 방문해서 잊을 수 없는 선생님이라고 하면서 선물을 사 들고 와서 존경한다고 말하며 유학을 잘 다녀오라는 인사를 하고 떠났던 기억이 있다. 그 아이는 일부러 저항을 한 것은 아니지만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인 ‘저항’을 원치 않는 변화에 대해 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 아주머니는 남편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상담소에 부부상담을 요청하였다. 그 분은 자신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상담소에서 진행함 검사결과에서 자신이 변화되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는 당황을 하고 바로 상담을 종결해버렸다. 변화해야 할 사람이 남편이 아닌 자기라고 하는 사실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가 없어 상담을 그만 둘 수밖에 없었는데 이것도 ‘저항’의 한 모습이라 볼 수 있다. 그 아주머니가 정말 원한 것이 부부관계의 회복이 아니라 어쩌면 남편의 변화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자신이 변화해야 하는 상담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던 것이다.
02_세련된 저항방식으로 상처 다루고 치료하는 것 어렵게
그러고 보면 사람은 원치 않는 변화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저항’을 보이는데 그 저항이 건강하지 못할 때 그것이 성장과 변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오타니 (Otani, 1989)는 저항의 흔한 형태를 스물 두 가지로 분류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저항의 형태로 의사소통 하지 않기, 내용 제한하기, 조작하기, 규칙 어기기를 설명한다.
이것은 상담소에서 고객들이 어떤 저항을 사용하는지를 연구한 것이긴 하나 일상에서 변화를 촉구하는 쌍방의 관계에서 그것을 원치 않을 때 종종 나타나는 것이라 이해해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부관계나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 다양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의사소통 하지 않기에는 침묵하기, 드물게 반응하기, 최소한으로 반응하기, 끊임없이 이야기 하기가 있다. 의사소통은 상호 연관성이 있어야 하고 주고받기의 공평성이 있을 때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것을 통해 관계가 발전하고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한쪽에서 이야기를 하는데 반응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 ‘저항’을 보일 때 관계는 발전할 수가 없다.
상담에서도 상담사가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소통을 하려 하는데 변화를 원치 않는 내담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반대로 자신의 이야기만 끊임없이 할 때 상담을 잘 진행해나갈 수가 없다. 가끔 안타까울 때가 있는데 상담시간 50분 내내 자신의 이야기만 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은 상담선생님에게만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대인관계에서도 일방적으로 자신의 말만 많이 하고 상대방의 말이나 생각은 잘 들어주지 않는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주위 사람들은 그것으로 인해 종종 힘들어한다. 그것도 무의식적인 변화에 대한 ‘저항’의 형태라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 제한하기에는 잡담하기, 지성화하기, 반문하기, 집요하게 이야기하기 등이 있다. 변화를 거부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다루지 않고 다른 이야기만 자꾸 하는 것이다. 과거의 상처가 너무 아프다 보니 관계에서 상처를 이야기하게 하려 하면 피해버리고 유머로 넘기려 하는 사람들, 또는 아픈 상처를 아무렇지도 않은 듯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무덤덤하게 하는 사람들은 진정으로 아픔을 직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상처를 덮어버리는 ‘세련된 저항 방식’으로 인해 상처를 깊이 다루고 치료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03_무의식적 자기방어 형태로 만들어진 경우도 많아
다음으로 조작하기가 있는데 여기에는 무시하기, 유혹하기, 남 탓하기, 잊어버리기 등이 있다. 가끔 보면 중요한 것인데 너무 쉽게 잊어버렸다고 상황을 넘겨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면, 상담시간에 과제를 내주었는데 잊어버려서 못했다고 한 번이 아닌 반복해서 말하는 사람들의 예를 들 수 있겠다. 그뿐인가? 문제의 원인을 무조건 남에게 돌리며 자신은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결국, 사람을 조정함으로 변화를 거부하는 ‘저항’을 보이는 형태라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규칙 어기기 저항은 약속 지키지 않기, 지불 미루기, 부당한 요구하기, 부적절한 행동 보이기 등이다. 한 아이가 학교만 보내려 하면 아프다고 하면서 드러누울 때 꾀병이긴 하지만 그것이 너무나 실제적이다 보니 부모는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저항’들은 어떤 경우는 의식적으로 의도를 가지고 행하지만 많은 경우 어린 시절에 경험한 상처와 아픔으로 인해 무의식적인 자기방어의 형태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건강한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이 어렵다 보니 다양한 ‘저항’의 형태로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고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방법을 터득한 것이다. 그렇기에 ‘저항’이라고 하는 방식을 관계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모습을 관계에서 경험하게 되면 ‘왜 그러지? 이해가 안되네?’라고 생각하기 보다 무의식적 ‘저항’일 수 있는 것을 생각하고 그것이 주는 의미를 찾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관계의 문제를 풀어가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청소를 하라는 것에 저항적일 때 말을 안 듣는다고 쉽게 판단하여 생각하기보다는 변화에 대한 저항이라고 이해하며 반복되는 부모의 잔소리 때문인지 아니면 청소를 할 줄 아는 기술의 부족 때문인 지를 찾아보려 할 때 훨씬 더 문제를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글 / 서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