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에스트로 번스타인

나에게 있는 좋은 자원들로 세상에 기여하며 살아갈 방법 생각해야

네플릭스에 2023년 영화 중 미국의 유명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마에스트로 번스타인의 생애를 담은 ‘마에스트로 번스타인’ 작품이 있다. 평소 피아노음악을 좋아하는 필자는 번스타인의 삶은 어떠했는지가 궁금해하며 영화를 보게 되었는데 젊은 시절 결혼 직전의 삶과 아내와 함께한 결혼생활까지의 삶을 주로 담고 있었다. 그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오가면서 갈등이 있는 결혼생활을 했는데 아내인 펠리시아는 남편의 사랑을 충분히 받지 못한 채로 우울함과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면서 암 투병을 하다가 세상을 떠나게 된다.

 

01_배우자는 첫 번째 애착 대상, 외로울 때 안전기지 역할

모든 사람에게는 사랑을 받고자 하는 욕구, 소속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 가치있는 존재로 살고 싶은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 영화에서 펠리시아는 자신은 남편의 사랑이 충분치 않아도 괜찮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라고 고백하는 장면이 나온다.

펠리시아는 남편이 동성애의 문제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결혼을 했고 그것이 자신이 극복을 할 수 있는 문제라 생각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배우자가 주는 안정된 사랑이 없음으로 펠리시아는 명예와 재산을 가지고 있어도 결코 행복하지 않고 늘 외로움을 겪었음을 보게 된다.

결혼에서 배우자는 첫 번째 애착의 대상이며 어려운 일이나 고통스러운 일이 있을 때 정서적으로 외로울 때 안전기지의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데 기쁠 때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의 손을 잡고 있는 배우자를 통해 정서적 필요가 채워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의 한 장면에서 번스타인이 성공적인 공연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환호를 받고 있을 때 아내인 펠리시아는 그 자리를 빨리 떠나 혼자 외롭게 있는 모습은 채워지지 않은 펠리시아의 욕구와 그 고통을 보여준다.

아내에게만 사랑을 주지 않고 많은 남성들에게도 사랑을 준 번스타인은 정서적으로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았을까? 번스타인은 음악가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았고 많은 남자들이 있었지만 개인적인 그의 삶도 그다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영화에서 아내인 펠리시아를 만난 후 자신의 비밀을 이야기함으로 친밀해지는 시간을 가지는데 그의 비밀은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는 꿈을 꾼다는 것 그리고 꿈에서 깬 후에도 아버지를 죽이는 생각을 한다’는 것이었다.

 

02_물질적 결핍욕구는 물질적으로만 채워주려는 사랑으로…

결국 부모로부터 특히, 아버지로부터 충분한 인정과 사랑을 받지 못한 번스타인은 채워지지 않는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다른 남성들로 채울 수밖에 없었고 그 중독적 경험은 결혼생활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그것은 자신이 추구하는 억압에서 풀려서 ‘자유’를 추구하는 삶의 모습으로 합리화시켰지만 결혼생활을 행복하지 못하게 만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사랑 받고자 하는 욕구, 소속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 가치 있는 존재로 살고 싶은 세 가지 욕구는 자신이 태어난 가정에서 시작되어야만 하는데 번스타인에게 채워지지 않은 그 욕구는 결핍 욕구가 되어서 평생 동안 자신을 목마르게 하는 욕구가 되었고 그것이 평생으로 젊은 남자들을 사랑하는 중독적 삶을 살게 하였다.

이 영화를 통해 어린 시절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아이들이 채워져야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사람은 중독적인 것을 통해 위로의 수단으로 삼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보게 된다. 그리고 채워지지 않은 결핍의 욕구는 평생 따라다니면서 사람을 외롭게 만드는 것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면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이 한번쯤은 이 부분을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어떤 한 부모는 어린 시절에 너무나 가난하게 살면서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좋은 장난감을 가져본 적이 없었기에 자신의 자녀를 낳은 후에 끊임없이 아이의 장난감을 사주곤 했다. 그러자 어느새 아이의 방은 가지고 놀지 않는 장난감으로 가득 찬 쓰레기장 같은 방이 되었다고 한다. 이 아버지의 채워지지 않은 물질적 결핍욕구는 지나치게 물질적인 것으로만 아이에게 채워주려고 하는 사랑으로 잘못 전달되어버린 것이다.

 

03_건전한 방법으로 욕구 해소하고 성장욕구로 발전

이 부모는 아이에게 장난감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놀아주고 아이와 대화를 나누고 아이와 다른 부분에서 사랑을 나누는 법을 배워야 건강해질 수 있다. 이렇게 채워지지 않은 결핍은 사람을 중독으로 그리고 건강하지 않은 방식으로 사랑하는 것으로 이끌 수 있음을 기억하고 내 안에 채워지지 않는 결핍이 현재의 삶에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또 자녀를 사랑하는 관계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인식할 수 있을 때 거기에서 변화의 힘이 나올 수 있다.

어떤 한 사람은 어린 시절에 아버지로부터 차별대우를 받아 언제나 아버지의 인정을 받는 것에 목말라 했는데 그 채워지지 않은 결핍의 욕구가 직장생활을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직장에서 차별대우를 받거나 자신보다 어린 사람이 더 빨리 승진을 하는 모습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며 거기에서 실패감을 크게 느끼고 자신보다 적극적인 사람을 볼 때 화가 나고 분노하는 모습을 갖게 된 것이다.

그 사람이 상담을 통해 자신의 그런 열등감이 어린 시절의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온 결핍욕구임을 인식하고 자신이 가진 자원들을 바라보며 감사하기 시작했을 때 직장생활을 훨씬 더 편안하게 하는 힘이 생기게 되었다.

내 안에 충족되지 않은 욕구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서 나타날 수 있지만 그 욕구들을 인식하고 건전한 방법으로 욕구를 해소할 수 있게 도우며 더 나아가 성장욕구로 발전시킬 때 열등감은 사회에 기여하는 승화된 모습으로 발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나의 채워지지 않은 욕구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이미 나에게 있는 긍정적이고 좋은 자원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으로 세상에 어떻게 기여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를 생각하자. 그렇게 할 때 나의 삶은 채워지지 않은 깨어진 장독이 아닌 손이 닿는 곳마다 꽃이 피어나는 살만한 곳이 될 것이다.

 

 

글 / 서미진

 

 

 

Previous article3척
Next article프랜차이즈 계약 서명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