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시멜로 테스트

만족 지연 능력 있는 사람은 어려움이나 실패에도 쉽게 좌절되지 않아

유튜브에 ‘마시멜로 테스트’라는 것을 검색하면 재미있는 실험이 나옵니다. 이 실험은 스탠포드대 교수가 1960년대에 처음 실험한 것으로 일시적인 만족을 지연시키는 것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연구한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마시멜로를 하나씩 주면서 지금 먹을 수도 있고 15분 후에 먹을 수도 있는데 15분 후에 먹으면 마시멜로를 하나 더 먹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01_만족 지연 능력은 아이가 행복하게 자라는데 필요한 요소

네 살에서 여섯 살 사이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행해졌던 실험인데 어떤 아이들은 기다림으로 두 개를 먹을 수 있었고 그렇지 못한 아이들은 하나를 바로 먹어버리는 아이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똑같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15년 후에 어떤 모습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고 합니다. 비록 어리지만 어릴 때부터 즉각적인 만족을 미래의 만족을 위해 참았던 아이들은 커서 학위, 신체형체, 그 외 삶의 많은 척도에서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현저한 월등함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 실험은 만족지연능력이 건강하게 성공적으로 살아가는데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연구한 것입니다. 전 교육부장관 문용린 교수의 <행복한 성장의 조건>에서 아이들이 행복하게 자라기 위해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가 ‘만족 지연 능력’이라고 합니다.

만족 지연 능력이 있는 사람은 어떠한 어려움이나 실패가 있어도 쉽게 좌절되지 않습니다. 이후에 느낄 쾌감을 알기 때문입니다. 일시적인 쾌락이 주는 즐거움이 있는가 하면 아주 힘든 일을 참고 과정을 극복하고 목표를 이룰 때 사람에게서 나오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있다고 합니다.

일시적인 만족이 주는 쾌락과 느끼는 정도가 같을 수 있으나 일시적인 만족은 중독성이 있고 더 늘리지 않으면 같은 쾌락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만족 지연 능력을 통해 무엇인가 노력함으로 얻어 느끼는 호르몬을 통해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인내와 노력으로 얻는 만족감을 느끼도록 도와 줄 때 아이들은 만족 지연 능력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목표를 이루는 훌륭한 아이들로 자랄 수 있게 됩니다.

 

02_만족 지연 능력은 선천적 아닌, 후천적 교육 통해 습득

그런데 만족 지연 능력은 선천적인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후천적으로 얼마든지 교육을 통해 습득이 가능합니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다 해주고 싶은 것이 부모의 심정이나 아이들이 원할 때마다 그때 그때 원하는 것을 다 해주면 아이들은 만족 지연 능력을 배울 수가 없게 됩니다.

삶의 작은 순간에서부터 만족 지연 능력을 키우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일정한 목표를 성취한 후 보상을 해준다거나 저녁 직전에는 단 음식을 못 먹게 한다거나 일정한 시간이 되면 하던 행동이 재미있더라도 그것을 그만 둘 수 있는 아이들이 되도록 훈련해야 합니다.

필자는 어린 시절 가정에서 온 가족이 함께 드렸던 예배시간이 만족 지연 능력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움직이지 않고 앉아 있는 것이 힘들었지만 그것이 인내를 할 수 있는 자가 되도록 도왔습니다.

만족 지연 능력은 성경에서 예수님에게서도 볼 수 있습니다. 히브리서 12장에 보면 예수님은 그 앞의 즐거움을 위해 고난을 참으셨다고 말씀합니다. 성경은 만족 지연 능력과 관련된 오래 참음과 인내에 대해서도 많이 이야기합니다.

점점 더 인내력이 없어지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미래의 즐거움을 위해 지금의 어려움을 이기며 참을 수 있는 만족 지연 능력을 키우는 것은 그리스도인이 인생을 건강하고 또 하나님의 나라를 세워 나가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어른들은 때로 하는 금식, 절제 등이 만족 지연 능력을 키우고 세속화 되지 않게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독에 빠진 많은 사람들이 만족 지연 능력이 있었더라면 중독에 빠지지도 않았을 것이고 빠졌더라도 금방 벗어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만족 지연 능력을 통해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를 축복합니다.

 

글 / 김 훈 (호주기독교대학 학장·호주한인생명의전화 이사장·상담학박사)

 

 

 

 

Previous article미셸 유의 미술칼럼 (27) 상상과 현실의 경계에서 환상적 원시회화 창조한 앙리 루소
Next article코리아타운 특별기획 : 2020년판 ‘샌드위치’ 잡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