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시간과 에너지 잘 관리해, 모두에게 도움 주는 삶 살아가는 것

페이스북 최고경영자 마크 저커버그와 마아크로소프트 설립자 빌 게이츠는 여행과 걷기를 통해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얻는다고 했다. 비가 개인 엊그제 ‘관광은 못할지라도 걷기는 하자’는 마음으로 새로 이사 온 집 주변을 산책했다. 굽이 돌아 멈춰선 곳은 버스 두 대가 서있는 곳이었다. 빗물 따라 흘러온 낙엽 쓰레기로 보아 오랫동안 그 자리에 서있었을 것 같은 교민 여행사 소속의 관광버스였다.

 

01_도시의 종말?

불과 두세 달 전의 ‘좋은 시절’에는 바퀴의 움직임에 정비례하여 여러 사람의 지갑을 두텁게 해주며 ‘좋은 대우’를 받았음직한 고가의 버스 아니었던가? 고국의 손님들을 모시고 오늘은 이곳 내일은 저곳 하며 곳곳의 명승지와 맛집, 쇼핑센터와 스타시티 카지노까지도 신나게 다니며 삶에 활기와 생기를 북돋워준 관광객들의 듬직한 발이 아니었던가?

여행사의 재산목록으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힐 큰 머슴이었던 그 버스도 세월의 야속함으로 길가의 도로 표지만보다 못한 대우를 받으며 황혼의 햇살을 받고 있었다.

많은 사람은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이 뉴욕을 비롯한 대도시의 사망을 알리는 조종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높은 인구밀도로 도시 전체가 거대한 세균배양기가 될 것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직장인들은 굳이 사무실 근처의 인구밀집지역에 거주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원격화상회의가 자리를 잡아감에 따라 ‘사무실’은 과거의 유물이 될 처지가 됐다는 점 역시 도시의 종말을 논하는 근거로 제시된다.

세계는 자국 중심주의를 선택하면서 고립주의가 강화되고 글로벌 가치사슬도 탈동조화 하기 시작했으며 비대면경제가 일상화되면서 모든 국가의 ‘뉴딜’도 미래산업을 향하고 있다.

이처럼 성을 허물고 길을 내는 시대가 끝나고 헨리 키신저의 말대로 중세와 같은 ‘성곽도시 (walled city)’가 가까이 오고 있는지 모른다. 문제는 이러한 위기가 단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발전과 퇴보를 거듭하는 W자 형태로 지속해서 반복될 것이라는 점이다.

 

02_도약을 위한 디딤돌!

학교도, 교회도 줌 (ZOOM), 유튜브 등을 통한 온라인 강의와 온라인 예배가 일상화되면서 넓은 캠퍼스와 초대형 건물이 로망이었고 아이콘이었던 것은 이제 옛 시대의 추억이 될 판이다.

그런가 하면 이러한 도전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반론이 더 강하다.  하버드대 경제학자인 에드워드 글레이저는 <도시의 승리 / Triumph of the City>라는 책에서 1970년대 미국 도시들이 암담한 미래와 마주했다고 지적한다.

국제분업을 가능케 한 세계화와 업무자동화는 방직산업에서 해운업에 이르는 거대한 도시산업의 몰락을 초래했다. 자동차는 원거리 출퇴근을 용이하게 만든 지금의 줌보다 훨씬 중요한 획기적 신기술이었다. 전화 서비스도 싸고 편해졌다.

하지만 수명을 다한 것으로 여겨졌던 도시는 보란 듯 다시 돌아왔고 금융에서 컨설팅·헬스케어에 이르는 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경제적 생명력을 찾아냈다. 팩스와 이메일, 비디오 컨퍼런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단순자산을 최대한 활용하며 도시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스로를 재창조했다.

글레이저는 금융과 테크놀로지 산업의 경우 근로자들은 일터에서 가까운 곳에 거주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멘토로부터 그날그날의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서로 의견을 나눌 수도 있다.

그의 데이터에 따르면 ‘인구 100만명 이상의 메트로폴리탄 지역에서 생활하는 미국인들은 그보다 작은 대도시 거주자들에 비해 평균 50% 이상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이 같은 관계는 근로자들의 교육정도, 경험과 직종 등을 고려해도 변하지 않는다. 심지어 개별 노동자들의 지능지수까지 감안해도 결과는 같다.

 

03_갈림길

코로나19 팬데믹이 우리에게 새로운 도전을 안긴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도전 앞에 어떻게 응전할 것인가에 따라 추락과 도약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 14세기 이탈리아 피렌체는 흑사병으로 도시 인구의 절반 이상을 잃었다.

중세 작가인 조반니 보카치오가 <데카메론>을 통해 유럽인들에게 들려준 조언은 지금의 상황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도시를 떠나시오. 몇몇 친구들과 격리생활을 하다가 가끔 저녁 시간에 함께 모여 먹고 마시며 흥미로운 담소 (중세판 넷플릭스 버전인 셈)를 나누시오.”

그러나 유럽 도시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렌체가 주도적으로 문예부흥기의 막을 연 것은 인류역사상 최악의 돌림병이었던 흑사병이 물러간 다음의 일이었다.

그만큼 인간은 적응과 창조에 뛰어난 존재이며 역경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지식과 지혜는 놀랄 만큼 ‘점프’하기 때문이다. 이제 도시를 묶었던 ‘봉인’이 하나씩 해제되고 있다.  거리는 사람들이 쏟아져 나오고 차는 막히기 시작했고 업소들마다 끊어졌던 손님맞이로 즐거운 비명이다.

‘사회적 거리’는 여전하지만, ‘마음의 거리’는 좁혀가며 우리 앞에 놓인 거대한 도전의 물살을 가르며 나아가야 할 때이다. 경영학 구루인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의 말을 곰삭여 보자. “우리의 최종 목표는 주어진 시간과 에너지를 잘 관리해서 모두에게 도움을 주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Image result for 송기태 알파크루시스글 / 송기태 (상담학박사·알파크루시스대학교 글로벌온라인학부장)

 

 

 

Previous article알파크루시스대학교 한국학부 부학장 최영헌 박사
Next article“많이 잡으세요” vs. “즐기다 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