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가정 만들기

가족 안에서도, 커플관계에서도 ‘힘의 균형’이 중요하다.

큰 아이가 속상해 하면서 이야기를 했다. 자신은 부엌을 정리하면 옆의 사람 것까지 함께 해주곤 하는데 동생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동생이 쓰레기를 버리고 있길래 바로 옆에 있는 것을 치워달라고 부탁을 했는데 “언니가 왜 하면 안돼?”라고 말했다고 한다. 큰 아이의 설명만 들으면 큰 아이는 이타적인 사람이고 동생은 이기적인 사람처럼 여겨진다. 큰 아이가 속상해 하길래 일단은 공감을 해주었고 큰 아이는 마음이 좀 정리가 된 듯 보였다. 그러다 며칠 후 그 이야기가 다시 나와서 작은 아이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작은 아이는 말하길 “언니랑 나랑 똑같은 거리에 있었는데 언니가 하질 않고 나를 시켰어! 그래서 언니에게 그렇게 말한 거야!”라고 했다.

 

01_똑같은 상황에서도 서로 다른 입장

똑같은 상황이지만 서로의 입장이 이렇게 다르다. 이렇게 다른 입장과 다른 견해로 인해 가족들 간에는 갈등이 생기고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상대를 이해하려고 하는 열린 태도를 가지고 상대의 이야기를 듣지 않으면 서로는 다른 입장이 있고 각자가 옳다고 생각하기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더 어려워진다.

“아! 그래서 그랬구나. 이해가 되네”라고 서로를 이해하면 문제가 해결이 될 수 있는데 자존심을 굽히지 못하고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는 경우 갈등이 깊어진다. 특히 부부관계에서 이런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 부부는 아주 오랫동안 다른 환경에서 자라난 사람들이다. 그래서 똑같은 상황을 바라볼 때 이해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고 소통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그런데 그 부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상대방의 방식이 잘못된 것이며 나의 방식을 모두 따라와야 한다고 주장을 하게 될 때 져주는 사람은 자신이 사라지기에 힘들고 강하게 주장하는 사람은 기쁘게 자신을 따라오지 않는 상대방으로 인해서 불만족스럽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낮고 소통하는데 수동적인 경향이 있는 사람이 상대방의 방식을 받아들여 자신을 잃어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 커플이 있는데 한 사람은 성격이 강하고 자기 주장적이다. 그에 비해 다른 한 사람은 희생적이고 상대방을 잘 맞추어주는 사람이다. 성격이 강하고 자기 주장적인 사람이 자꾸 변화를 요구하다 보니 다른 한 사람이 자신을 내려 놓고 강한 사람에게 거의 모든 부분에서 맞추어주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자 강한 사람은 고유한 매력이 사라져 버린 자신에게 맞추어주는 여성은 매력이 없다고 더 이상 사귀고 싶지 않다고 하며 헤어지자고 했다고 한다. 상대방의 요구에 다 맞추어준 사람은 자신을 잃어버리기까지 희생적이었으나 그것이 건강한 관계를 이루어가지 못한 것이다.

 

02_서로의 다른 점 인정하고 질서 세워나가야

가족 안에서도 그렇고 커플관계에서도 그렇고 힘의 균형이 중요하다. 너무 한 쪽에게 힘이 실려지거나 하는 것은 처음에는 평화가 있기에 좋을 것 같으나 구성원들의 일부는 건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조금은 갈등이 있더라도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다 들리도록 해야 하고 모두가 건강한 소통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모두가 그 가운데서 협력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나름대로의 규칙과 역할이 융통성 있게 설정되어야 한다.

어느 가정에 아주 강한 엄마가 있는데 그 강함에 못 견딘 남편은 집을 예전에 떠났고 강한 엄마를 닮은 딸은 어릴 때부터 반항을 하면서 성인이 되자 집을 떠나버렸다. 그런데 그 집의 아들은 엄마를 이해하면서 착한 아들로 엄마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 아들은 심리검사 결과들을 보면 엄마를 많이 두려워하고 있었고 그 엄마에게는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가 없는 무기력함을 갖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아들은 엄마를 무서운 사자로 표현을 했고 여동생은 전갈로 표현을 했다. 자신은 그에 비해 아버지는 체구가 작은 펭귄을 선택했고 자신은 작은 고래를 선택했다. 이 아들은 엄마와 여동생이 싸우면 중간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곤 했고 결혼도 하지 않고 엄마와 살고 있기에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에 그 집의 아들은 착한 아들, 그 집의 딸은 반항아이고 문제아라고 볼 수 있는데 실제로는 엄마의 강한 통제력으로 벗어날 수 없는 아들이 심리적으로는 더 건강하지 못한 아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가정은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힘을 빼앗겨버렸고 그 아들도 그 딸도 세대를 이어 건강하게 자신의 견해나 목소리를 내는 독립된 자아를 가진 자녀들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두려워하는 엄마에게 순종적인 아들은 독립된 성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하게 여겨지는지도 모른다.

가족들이 또는 커플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힘의 균형을 골고루 가지면서 서로의 다른 점을 인정하고 질서를 세워나갈 때 진정으로 그 관계는 건강해 질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가족들이 건강해질 수 있을까?

앞에서 말한 것처럼 건강한 가정은 한 사람을 희생양으로 만든다거나 한 사람을 일방적으로 영웅을 만들지 않는다. 상호작용 가운데 갈등이 있을 때 그것을 건강한 의사소통으로 해소해나가며 모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가족 전체가 건강한 체계가 될 수 있도록 전체와 구성원 모두를 부모님이 주축이 되어 돌보는 가정이 건강한 가정이다.

 

03_일관성 있는 규칙, 건강한 소통으로 융통성도 발휘해야

그것을 위해 부모님은 편애하는 자녀가 없어야 한다. 비록 마음에 조금 더 정이 가고 좋아하는 자녀가 있더라도 가능한 공평하게 모두에게 상과 벌을 공평하게 주려고 노력해야 한다. 그럴 때 가족의 질서가 흐트러지지 않고 바로 세워질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부부부터 소통을 잘 해야 한다. 소통하지 않는 부부는 자녀를 희생양으로 삼게 되는 경우가 많다.

부모의 갈등을 힘들어하는 정서적으로 연약한 자녀가 부모 대신 아픈 사람이 되는 경우도 종종 보게 된다. 가정을 지키기 위해 자녀는 무의식적으로 희생양의 역할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부부가 갈등이 심하다가 아이가 아프게 되니 싸우지 않고 아이를 돌보는 일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강한 가정에는 표현의 자유가 있다. 눈치를 보면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는 가정은 건강한 가정이 아니다. 문제는 표현을 하라 하면서도 막상 표현을 하면 그것을 존중해 주지 않는 부모들의 일방적인 소통방식은 가정을 건강하게 할 수 없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게 하고 그것을 잘 들어주며 실제 가정에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힘이 있을 때 가정은 시간이 지나면서 성장하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아이의 말을 무조건 들어주는 것은 아이로 하여금 방종하게 하는 것이다. 아이의 말을 표현하게 하고 경청하면서도 들어줄 것은 들어주고 안 되는 것은 왜 안 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해주는 부모가 건강한 부모다. 다른 말로 하면 일관성 있는 규칙을 잘 지키되 거기에는 융통성과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캠프에 가서 너무 피곤해 할 때는 하루 정도 해야 하는 일들을 하지 않고 쉬게 해주는 것도 하나의 융통성일 수 있는 것이다.

건강한 가정은 그냥 만들어지지 않는다. 건강한 부부를 통해 힘의 균형과 좋은 일관성 있는 규칙과 건강한 소통을 통한 융통성도 발휘할 수 있는 가정이 건강한 가정이다. 그것을 위해 부모는 끊임없이 성장해야 하고 노력해야 한다. 힘든 일이지만 너무나 가치 있는 일이다. 그렇게 할 때 자녀들은 또 다른 건강한 가정을 만들어나갈 수 있는 독립된 자아로 성장해갈 수 있고 인류의 미래는 그 아이들로 인해 밝을 수 있는 것이다.

 

 

글 / 서미진

 

 

 

Previous article네이티브는 쉬운영어로 말한다 (일상회화편) 파트1 – 2
Next article롱핀